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펠로우(Fellow) 의사와 레지던트(Resident), 그들은 어떤 의사일까?

by 영바디 2025. 4. 14.

펠로우 의사와 레지던트, 그들은 어떤 의사일까? 👨‍⚕️📚

병원에서 '레지던트', '펠로우'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죠?
의사인데 또 수련 중이라니, 이게 무슨 말일까요?
오늘은 펠로우 의사와 레지던트의 차이점과 역할, 그들의 삶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그들이 얼마나 헌신적인 존재인지 알게 되면, 병원에서 마주치는 '젊은 의사'들을 보는 시선이 달라질 거예요. 😊

 


🩺 레지던트란?

레지던트(Resident)전공의라고도 불리며,
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특정 전문과목을 수련 중인 의사를 말합니다.

  • 수련 기간: 보통 3~4년
  • 분야: 내과, 외과, 정형외과, 소아과, 산부인과 등
  • 역할:
    • 환자 진료 보조
    • 수술 참여 및 보조
    • 병동/외래/응급실 진료
    • 주치의 역할 수행
  • 특징: 주로 병원에 상주(reside)하기 때문에 '레지던트'라고 불리죠!

📌 쉽게 말하면, 전문의가 되기 위한 실전 훈련 중인 의사입니다.


🧠 펠로우란?

펠로우(Fellow)전문의 자격을 이미 취득한 후, 특정 분야를 더 전문적으로 수련하는 의사입니다.

  • 수련 기간: 보통 1~2년
  • 분야: 심장외과, 중환자의학, 소화기내시경, 외상외과 등 세부 전공
  • 역할:
    • 고난도 수술 및 시술 수행
    • 전공의 교육
    • 연구 및 논문 작성
  • 특징: 슈퍼 전공의라고 불릴 만큼 고난이도 의료를 담당

📌 이미 전문의지만, 더 전문화된 능력을 갖추기 위해 수련 중인 의사입니다.


🏥 레지던트와 펠로우의 일상

레지던트의 하루

  • 새벽 5시~6시 기상 → 병동 회진
  • 오전 수술 및 외래 보조
  • 오후 병동 진료/기록/응급 상황 대응
  • 야간 당직 시 새벽까지 진료

펠로우의 하루

  • 회진 및 수술 계획 수립
  • 고난도 수술 및 시술 집도
  • 레지던트 교육 및 연구 활동
  • 학회 참여 및 논문 작업

😮 두 직군 모두 강도 높은 업무와 시간 외 근무를 경험하며
의료 기술을 쌓고, 환자 생명을 살리기 위해 하루를 바치고 있습니다.


❗ 우리가 몰랐던 그들의 고민

  • 과중한 업무: 하루 12시간 이상 근무는 기본
  • 낮은 보상: 레지던트 시절의 급여는 일반 직장인보다 낮은 수준
  • 소진과 스트레스: 환자와 보호자 응대, 책임감, 수면 부족 등

📢 이들은 단지 의사가 되기 위한 훈련생이 아니라,
환자의 곁에서 가장 가까이 치료를 제공하는 실질적인 의사입니다.


🧡 결론

레지던트는 전문의가 되기 위한 여정을 걷고 있는 의사이며,
펠로우는 전문의 자격을 갖춘 후 더 전문적인 능력을 쌓는 의사입니다.
그들은 환자를 살리기 위해 밤을 새우고, 지식과 경험을 갈고닦으며 성장합니다.

다음에 병원에서 이들을 보게 된다면,
“감사합니다, 힘내세요!” 한 마디 전해보세요.
그 한 마디가 큰 힘이 될 거예요. 😊